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보기1408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9 문자열 슬라이싱 문제 다음과 같은 문자열에서 '2020/03'만 출력하세요. 분기 = "2020/03(E) (IFRS연결)" 내풀이 분기 = "2020/03(E) (IFRS연결)" print(분기[:7]) 정답 문자열에서 슬라이싱을 사용하면 여러 글자를 접근할 수 있습니다. 분기 = "2020/03(E) (IFRS연결)" print(분기[:7]) 분기 = "2020/03(E) (IFRS연결)" print(분기[:7]) 문자열 슬라이싱을 활용함 2020. 12. 18.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8 컴마 제거하기 문제 삼성전자의 상장주식수가 다음과 같습니다. 컴마를 제거한 후 이를 정수 타입으로 변환해보세요. 상장주식수 = "5,969,782,550" 내풀이 상장주식수 = "5,969,782,550" 상장주식 = 상장주식수.replace(',','') print(int(상장주식)) 정답 정수형으로 타입을 변환하려면 int( )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이때 숫자 형태의 문자열에 컴마가 있는 경우 바로 변환된지 않습니다. 먼저 문자열의 replace 메서드로 컴마를 제거한 후 변환해야합니다. 상장주식수 = "5,969,782,550" 컴마제거 = 상장주식수.replace(",", "") 타입변환 = int(컴마제거) print(타입변환, type(타입변환)) 중요함! 형변환과 replace 활용. 2020. 12. 18.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7 문자열 출력 문제 파이썬 3.6부터 지원하는 f-string을 사용해서 035번 문제를 다시 풀어보세요.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이름: 김민수 나이: 10 이름: 이철희 나이: 13 내풀이 f-string.... .....음 처음 보는 방식이라 풀지 못했다ㅠㅠ 정답 f-string은 문자열 앞에 f가 붙은 형태입니다. f-string을 사용하면 {변수}와 같은 형태로 문자열 사이에 타입과 상관없이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print(f"이름: {name1} 나이: {age1}") print(f"이름: {name2} 나이: {age2}") 오.... f-string은 타.. 2020. 12. 18.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6 문자열 출력 문제 문자열의 format( ) 메서드를 사용해서 035번 문제를 다시 풀어보세요.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이름: 김민수 나이: 10 이름: 이철희 나이: 13 내풀이 print("이름: {} 나이: {}".format(name1, age1)) print("이름: {} 나이: {}".format(name2, age2)) 정답 문자열의 포맷 메서드는 타입과 상관없이 값이 출력될 위치에 { }를 적어주면 됩니다.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print("이름: {} 나이: {}".format(name1, age1)) print("이름: {} 나이: {}".format(name2, age2).. 2020. 12. 18.
[하루 한문장] 아는 만큼 이해하고 #92 아는 만큼 이해하고, 이해한 만큼 공감할수 있다. 공감을 하고 싶으면 그만큼 이해하고 알아야 한답니다. 2020. 12. 18.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5 문자열 출력 문제 변수에 다음과 같이 문자열과 정수가 바인딩되어 있을 때 % formatting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출력해보세요.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이름: 김민수 나이: 10 이름: 이철희 나이: 13 내풀이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print("이름: %s 나이: %d" % (name1, age1)) print("이름: %s 나이: %d" % (name2, age2)) 정답 print 포맷팅에서 %s는 문자열 데이터 타입의 값을 %d는 정수형 데이터 타입 값의 출력을 의미합니다.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print("이름: .. 2020. 12. 18.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4 문자열 곱하기 문제 변수에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바인딩되어 있습니다. >>> t1 = 'python' >>> t2 = 'java' 변수에 문자열 더하기와 문자열 곱하기를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출력해보세요. 실행 예: python java python java python java python java 내풀이 t1 = 'python' t2 = 'java' print((t1 +' '+ t2 +' ') * 4) 정답 t1 = "python" t2 = "java" t3 = t1 + ' ' + t2 + ' ' print(t3 * 4) 그냥 더하면 띄어쓰기 없이 출력되기 때문에 중간과 끝에 ' ' 문자열을 더해준다. 2020. 12. 18.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3 문자열 곱하기 문제 화면에 '-'를 80개 출력하세요. 실행 예: -------------------------------------------------------------------------------- 내풀이 print("-" * 80) 정답 print("-" * 80) print("-" * 80) 문자열은 곱한 수만큼 반복되서 출력 2020. 12. 18.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2 문자열 곱하기 문제 아래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상해보세요. >> print("Hi" * 3) 내풀이 정답 : HiHiHi 정답 문자열에 대한 곱셈은 문자열의 반복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문자열이 출력됩니다. HiHiHi HiHiHi 문자열은 곱한만큼 반복되서 출력된다. 2020. 12. 1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