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파이썬 3.6부터 지원하는 f-string을 사용해서 035번 문제를 다시 풀어보세요.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이름: 김민수 나이: 10
이름: 이철희 나이: 13
내풀이
f-string....
.....음 처음 보는 방식이라 풀지 못했다ㅠㅠ
정답
f-string은 문자열 앞에 f가 붙은 형태입니다. f-string을 사용하면 {변수}와 같은 형태로 문자열 사이에 타입과 상관없이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name1 = "김민수"
age1 = 10
name2 = "이철희"
age2 = 13
print(f"이름: {name1} 나이: {age1}")
print(f"이름: {name2} 나이: {age2}")
오.... f-string은 타입 상관없이 쓸수 있는점이 좋고 훨씬 파이썬틱해서 많이 써먹어야 겠다.
728x90
반응형
'Coding >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9 문자열 슬라이싱 (0) | 2020.12.18 |
---|---|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8 컴마 제거하기 (0) | 2020.12.18 |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6 문자열 출력 (0) | 2020.12.18 |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5 문자열 출력 (0) | 2020.12.18 |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034 문자열 곱하기 (0) | 2020.1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