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여러가지/git21 Git 관리에 유용한 명령어: git clean -fd Git 관리에 유용한 명령어: git clean -fd개발을 하다 보면 프로젝트 폴더 안에 점점 많은 파일들이 쌓이게 됩니다.특히 Git으로 관리하지 않는 임시 파일, 빌드 결과물, 로그 파일 등은 매번 정리하기 번거롭죠.이럴 때 git clean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번에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그 중 git clean -fd 명령어를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git clean이란?git clean은 Git에서 추적하지 않는 파일들을 제거해주는 명령어입니다.예를 들어 빌드 과정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이나 .gitignore에 포함시키지 않은 임시 파일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이런 파일들은 버전 관리 대상이 아니므로 필요할 때마다 다시 만들면 됩니다.그래서 이 파일들을 간편하게 삭제.. 2024. 12. 6. Git에서 변경 사항 되돌리기 쉽게 이해하기 Git에서 변경 사항 되돌리기 쉽게 이해하기안녕하세요! 오늘은 Git에서 변경 사항을 되돌리는 방법에 대해 쉽고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개발하다 보면 실수로 코드를 잘못 수정하거나 이전 상태로 돌아가고 싶은 순간이 있죠?그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Git 명령어들을 소개해드릴게요.1. 작업 중인 파일 변경 사항 취소하기아직 커밋하거나 스테이징하지 않은 파일의 변경 내용을 취소하고 싶을 때:git checkout -- 이렇게 하면 작성하신 파일명이 마지막 커밋된 상태로 돌아갑니다.2. 스테이징한 파일 되돌리기이미 git add로 스테이징한 파일을 취소하고 싶을 때: git reset HEAD 이제 해당 파일은 다시 unstaged 상태로 돌아갑니다.3. 마지막 커밋 취소하기최근에 한 커밋을 취소하.. 2024. 11. 25. Git에서 특정 커밋으로 이동하는 방법 Git에서 특정 커밋으로 이동하는 방법Git을 사용하다 보면 이전 상태로 돌아가거나 특정 커밋으로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it에서 특정 커밋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자 합니다.1. 커밋 해시 찾기먼저 이동하고자 하는 커밋 해시(commit hash)를 알아야 합니다.커밋 해시는 각 커밋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문자열입니다.git log --oneline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간단한 형태로 커밋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 f3a1c2d 추가: 회원 가입 기능b2b3c4e 수정: 로그인 버그 수정a1b2c3d 초기 커밋원하는 커밋의 해시(예: b2b3c4e)를 복사합니다.2. 특정 커밋으로 이동하기이제 해당 커밋으로 이동하기 위해 다음 명령어를 사.. 2024. 11. 21. [Git] .gitignore 에 작성해도 반영되지 않을 때 해결방법 !! [Git] .gitignore 에 작성해도 반영되지 않을 때 해결방법 !!.gitignore를 먼저 셋팅 하지 않고, 어떤 파일을 변경해서 이미 changes에 올라갔다면후에 .gitignore에 작성을 해도 계속 나올때가 있습니다.이럴때 명령어를 통해 git 캐시를 제거해주면 현재 작성된 .gitignore의 맞게 셋팅이 됩니다 ㅎ $ git rm -r --cached .$ git add .$ git commit -m "캐쉬제거" 2024. 7. 5. [Git] 깃 remote 되어 있는 주소 확인하는 방법 !! [Git] 깃 remote 되어 있는 주소 확인하는 방법 !!git remote -v이 명령은 각 원격 저장소의 이름과 함께 fetch(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 및 push(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용 URL을 보여줍니다. git remote show 리모트 저장소의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결과값 2024. 5. 16. [Git] 깃 Branch 생성 및 변경 하는 방법 !! [Git] 깃 Branch 생성 및 변경 하는 방법 !! Git Branch란? Git branch는 프로젝트의 독립적인 라인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개발하거나 버그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마스터 브랜치에서 분기를 생성하여 작업을 시작한 후,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마스터 브랜치로 병합(merge)할 수 있습니다. Branch 생성하기 로컬 브랜치 생성: git branch 명령어를 사용해 새로운 로컬 브랜치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현재 브랜치의 상태를 기반으로 새로운 브랜치가 생성됩니다. $ git branch test 원격 브랜치 생성: 로컬에서 작업한 브랜치를 원격 저장소에도 반영하고 싶다면, 먼저 로컬에서 브랜치를 생성한 다음 "git push -u.. 2024. 3. 29. [Git] 깃 머지 충돌이 났을 때 나오는 메세지 의미 [Git] 깃 머지 충돌이 났을 때 나오는 메세지 의미 깃을 푸시하는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충돌 메세지가 나왔다. 깃에서 제공해주는 hint: 의 의미를 알아보자. hint: You have divergent branches and need to specify how to reconcile them. hint: You can do so by running one of the following commands sometime before hint: your next pull: hint: hint: git config pull.rebase false # merge hint: git config pull.rebase true # rebase hint: git config pull.ff only # fast-fo.. 2024. 3. 23. [Git] cmd에서 파일을 마지막 상태 커밋으로 돌리는 방법 !! [Git] cmd에서 파일을 마지막 상태 커밋으로 돌리는 방법 !! 안녕하세요. 요즘 ide에서 깃 관련 ui를 제공해줘서 편하게 쓰다보니, 자주 까먹어서 공부도 할겸 올리게 되었습니다 ㅎ -- 뒤에 파일 이름을 지정하여 특정 파일을 마지막 커밋 상태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수정한 example.txt 파일을 마지막 커밋 상태로 되돌립니다. $ git checkout -- example.txt 2024. 1. 30. [Git] cmd에서 깃 remote 되어있는 url, 주소 확인하는 방법 !! [Git] cmd에서 깃 remote 되어있는 url, 주소 확인하는 방법 !! 커맨드에서 git remote -v 명령어로 아래와 같이 연결되어있는 주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git remote -v ex) origin https://github.com/yunsell/marine.git (fetch) origin https://github.com/yunsell/marine.git (push) 2023. 12. 21.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