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Coding594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52 for문 문제 for문을 사용해서 3의 배수만을 출력하라. 리스트 = [3, 100, 23, 44] 3 내풀이 리스트 = [3, 100, 23, 44] for i in 리스트: if i % 3 == 0: print(i) 결과값 3 정답 3의 배수일 경우에만 값을 출력합니다. 3의 배수는 3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3의 배수입니다. 변수 % 3은 변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를 의미합니다. 예를들어 10 % 3은 10을 3으로 나눈 나머지로 1을 반환합니다. 리스트 = [3, 100, 23, 44] for 변수 in 리스트: if 변수 % 3 == 0: print(변수) /는 나누기이고 % 는 나머지를 뜻하는 것이다. 햇갈리지 말것 ! 2021. 1. 27.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51 for문 문제 리스트에는 네 개의 정수가 저장돼 있다. 리스트 = [3, -20, -3, 44] for문을 사용해서 리스트의 음수를 출력하라. -20 -3 내풀이 리스트 = [3, -20, -3, 44] for i in 리스트: if i < 0: print(i) 결과값 -20 -3 정답 리스트에 저장된 모든 값에 접근해서 음수 여부를 판단해야 합니다. 라인 3을 제외하면 리스트에 저장된 모든 값을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라인 3의 분기문의 사용으로 모든 값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조건이 참인 경우에만 if문의 들여쓰기된 코드가 실행됩니다. 1: 리스트 = [3, -20, -3, 44] 2: for 변수 in 리스트: 3: if 변수 < 0: 4: print(변수) 인터프리터가 실행하는 순서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 2021. 1. 27.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50 슬라이싱 문제 리스트에는 네 개의 문자열이 바인딩돼 있다. 리스트 = ["가", "나", "다", "라"] for문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출력하라. 라 다 나 가 내풀이 리스트 = ["가", "나", "다", "라"] for i in 리스트[::-1]: print(i) 결과값 라 다 나 가 정답 증감폭을 음수로 설정하면 끝에서 앞방향으로 값을 슬라이싱합니다. 리스트 = ["가", "나", "다", "라"] for 변수 in 리스트[: :-1]: print(변수) 슬라이싱[시작:끝:순서]로 정해지고 마지막에 -1로 적용하면 반대로 출력한다. 2021. 1. 25.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49 슬라이싱 문제 리스트에는 네 개의 문자열이 바인딩돼 있다. 리스트 = ["가", "나", "다", "라"] for문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출력하라. 가 다 내풀이 리스트 = ["가", "나", "다", "라"] for i in 리스트[::2]: print(i) 결과값 가 다 정답 리스트 슬라이싱에서 [시작:끝:증감폭] 세번째 값은 값을 가져오는 단위를 의미했습니다. 증감폭을 2로 설정해서 "가"와 "다" 값만 슬라이싱합니다. 리스트 = ["가", "나", "다", "라"] for 변수 in 리스트[: :2]: print(변수) 이번문제도 슬라이싱을 활용한 출력방법입니다. 2021. 1. 25.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48 슬라이싱 문제 리스트에는 네 개의 문자열이 바인딩돼 있다. 리스트 = ["가", "나", "다", "라"] for문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출력하라. 나 다 라 내풀이 리스트 = ["가", "나", "다", "라"] for i in 리스트[1:]: print(i) 결과값 나 다 라 정답 리스트의 슬라이싱을 사용해서 일부 데이터를 "나다라" 변수에 바인딩합니다. "나다라"에 바인딩 된 리스트로 for문을 사용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코드가 어색하다면 2장을 복습합시다. 리스트 = ["가", "나", "다", "라"] 나다라 = 리스트[1:] for 변수 in 나다라: print(변수) 리스트를 슬라이싱한 결과를 "리스트" 변수에 업데이트 할 수도있습니다. 전체 값을 출력하는 코드에서 for문.. 2021. 1. 24.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47 for문 문제 리스트에는 세 개의 숫자가 바인딩돼 있다. 리스트 = [1, 2, 3] for문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출력하라. 3 x 1 = 3 3 x 2 = 6 3 x 3 = 9 내풀이 리스트 = [1, 2, 3] for i in 리스트: print('3 x',i, '=', 3 * int(i)) 결과값 3 x 1 = 3 3 x 2 = 6 3 x 3 = 9 정답 어려워 보인다면, for문을 사용하지 않고 풀어서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 핵심은 print() 함수에서 3 * 변수 부분입니다. 변수를 활용해서 원하는 값을 만들어 냈습니다. 변수 = 1 print("3 x ", 변수, "=", 3 * 변수) 변수 = 2 print("3 x ", 변수, "=", 3 * 변수) 변수 = 2 print("3 x ", 변수.. 2021. 1. 24.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46 for문 문제 리스트에는 세 개의 숫자가 바인딩돼 있다. 리스트 = [1, 2, 3] for문을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출력하라. 3 x 1 3 x 2 3 x 3 내풀이 리스트 = [1, 2, 3] for i in 리스트: print('3 x', i) 결과값 3 x 1 3 x 2 3 x 3 정답 012 문제를 풀었다면 충분히 응용할 수 있어야합니다. "3 x " 문자열과 숫자를 이어붙여 출력하면됩니다. 다만 변수에 바인딩된 값이 숫자이기 때문에 문자로 변환 후에 문자열 연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 [1, 2, 3] for 변수 in 리스트: print("3 x " + str(변수)) 혹은 print() 함수가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 = [1, 2, 3] for 변수 in 리스트: p.. 2021. 1. 23.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45 for문 문제 리스트에 동물 이름 저장돼 있다. 리스트 = ['dog', 'cat', 'parrot'] for문을 사용해서 동물 이름의 첫 글자만 출력하라. d c p 내풀이 리스트 = ['dog', 'cat', 'parrot'] for i in 리스트: print(i[0]) 결과값 d c p 정답 어렵게 느껴진다면 for문을 사용하지 않고 코드를 작성해봅시다. 바인딩된 문자열의 인덱싱을 사용해서 첫 글자를 화면에 출력합니다. 이름 = "dog" print(이름[0]) 변수 = "cat" print(이름[0]) 변수 = "parrot" print(이름[0]) 변하는 값은 for문의 자료구조 자리에, 변하지 않는 코드는 들여쓰기 후에 작성합니다. 쉽죠? 리스트 = ['dog', 'cat', 'parrot'] for.. 2021. 1. 23.
초보자를 위한 파이썬 300제 // 144 for문 문제 리스트에는 동물이름이 문자열로 저장돼 있다. 리스트 = ['dog', 'cat', 'parrot'] 동물 이름과 글자수를 다음과 같이 출력하라. dog 3 cat 3 parrot 6 내풀이 리스트 = ['dog', 'cat', 'parrot'] for i in 리스트: print(i ,len(i)) 결과값 dog 3 cat 3 parrot 6 정답 리스트에는 동물이름이 문자열로 저장돼 있다. 리스트 = ['dog', 'cat', 'parrot'] for 이름 in 리스트: print(이름, len(이름)) len() 함수는 문자열의 인덱스 번호를 출력해주는 함수입니다. 2021. 1.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