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K, M, B는 무엇을 의미할까?
- K (키로, 천)
- 1K = 1,000
- 예: 10K = 10,000
-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의 SNS 팔로워 수나 조회수 표기에 자주 등장합니다.
예) “이 유튜브 영상 조회수는 50K를 돌파했습니다.” → 50,000회
- M (밀리언, 백만)
- 1M = 1,000,000
- 예: 2M = 2,000,000
- 주로 “밀리언셀러” 앨범, 기업의 매출, SNS 팔로워 수 등이 백만 단위로 표기될 때 쓰입니다.
예) “이 아티스트의 앨범은 누적 판매량 3M을 기록했습니다.” → 3,000,000장
- B (빌리언, 십억)
- 1B = 1,000,000,000
- 예: 5B = 5,000,000,000
- 대규모 자금 규모(기업 가치, 투자 금액 등)나 세계 인구 수, 국가 예산처럼 큰 단위를 설명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예) “이 기업의 시가총액이 10B에 달합니다.” → 10,000,000,000달러
2. 왜 K, M, B 표기를 사용할까?
- 간결함
- 숫자를 일일이 다 쓰면 길고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예를 들어 “1,000,000” 대신 “1M”으로 쓰면 훨씬 깔끔합니다.
- 일관성
- 영어권 미디어, 금융 문서, 소셜 미디어 통계 등에서 널리 표준으로 통용됩니다.
- 국제적 공통 표현
- 각 나라별로 큰 수의 명칭이 다를 수 있지만, K, M, B 표기는 영어권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거의 공용으로 이해됩니다.
3. K, M, B를 더 쉽게 이해하는 예시
- SNS 팔로워 예시
- “Jake의 트위터 팔로워는 2M입니다.”
- 즉, 2,000,000명이 Jake를 팔로우하고 있습니다.
- “새로 만든 유튜브 채널이 5K 구독자를 달성했습니다.”
- 즉, 5,000명이 해당 채널을 구독하고 있습니다.
- “Jake의 트위터 팔로워는 2M입니다.”
- 기업 가치 혹은 매출
- “이 스타트업은 최근 20M 달러 투자 유치를 받았습니다.”
- 즉, 2천만 달러의 투자를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 “글로벌 IT 기업의 시가총액이 200B를 넘어섰습니다.”
- 즉, 2백억 달러(200,000,000,000달러)가 넘는 가치를 인정받는다는 뜻입니다.
- “이 스타트업은 최근 20M 달러 투자 유치를 받았습니다.”
- 인구수, 예산 등 매우 큰 스케일
- “전 세계 인구는 약 8B 정도 됩니다.”
- 약 80억 명을 의미합니다.
- “국가 예산이 900B 달러에 이른다고 합니다.”
- 9천억 달러에 달한다는 뜻입니다.
- “전 세계 인구는 약 8B 정도 됩니다.”
4. 실전 Tip
- 구분해서 읽기
- M, B 같은 단위는 3자리 또는 4자리 단위로 끊어 읽으면 훨씬 이해하기 쉽습니다.
- 예) 1,000,000 → 1M → “백만”
- 예) 1,000,000,000 → 1B → “십억”
- M, B 같은 단위는 3자리 또는 4자리 단위로 끊어 읽으면 훨씬 이해하기 쉽습니다.
- 축약 표기에 익숙해지기
- SNS나 뉴스 기사에서 “K, M, B”를 만나면, 즉시 천(1K=1,000) → 백만(1M=1,000,000) → 십억(1B=1,000,000,000) 를 떠올려보세요.
- 반대로 숫자로 환산하기
- “3.5K”는 3,500,
- “1.2M”은 1,200,000,
- “2.7B”는 2,700,000,000
이렇게 머릿속으로 자연스럽게 변환하는 연습을 하면 좋습니다.
5. 마무리
영어권에서 널리 쓰이는 숫자 단위인 K(천), M(백만), B(십억)는 한 번 익숙해지면 다양한 곳에서 빠르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SNS 조회수나 기업 매출, 인구 통계 등에서 혼동 없이 숫자를 이해하고 싶다면, 오늘 소개한 간단한 개념과 예시를 기억해 두세요.
정리
- K = 1,000
- M = 1,000,000
- B = 1,000,000,000
이제 K, M, B를 만나도 헷갈리지 말고 자신 있게 해석하고 활용해 보세요!

728x90
반응형
'여러가지 > 컴퓨터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픽 카드의 종류와 선택 시 고려사항 (4) | 2024.11.16 |
---|---|
CPU의 역할과 성능 비교 및 선택 가이드 (1) | 2024.11.15 |
컴퓨터 지식: SSD와 HDD의 차이점과 선택 가이드 (2) | 2024.11.12 |
SW기능점수(FP) 산정 방법 - ILF, EIF, EI, EO, EQ란 무엇인가 (3) | 2024.10.29 |
밀리세컨드(ms): 1초의 1000분의 1, 시간을 더 세밀하게! (3) | 2024.09.19 |
댓글